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7

구강 내의 소화 작용과 위 내의 소화 작용 구강 내 소화 구강에서의 소화작용은 음식물 덩어리를 씹고 삼키는 기계적 소화와 타액으로 음식물을 적시고 매끄럽게 하고 타액에 함유된 효소에 의한 화학적 소화로 특정 지을 수 있습니다. 타액은 구강 내에 수분을 공급함으로써 혀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하며, 음식물을 쉽게 삼킬 수 있도록 하고, 음식물을 용해해 수용성 맛 성분이 미뢰를 자극하여 맛을 느끼게 합니다. 타액은 구강 내 pH 7.0을 유지하며 pH 저하로 인한 치아의 칼슘 용해를 방지하고, 자극적인 음식물을 희석함으로써 점막 표면을 보호합니다. (1) 기계적 소화 1. 저작운동 : 저작은 식괴를 삼키기에 적당한 크기로 만드는 운동으로, 입과 턱의 저작근과 치아의 협동에 의해서 일어나며 수의적, 반사적으로 조절됩니다. 저작운동은 점성 물질, 혀와 구강.. 2023. 2. 26.
소화관 기능의 조절 메커니즘 소화관의 기능은 신경계(내장신경계와 자율신경계)와 내분비계에 따른 반사조절작용에 의해 정교하게 조절됩니다. 반사 조절은 여러 소화산물의 자극으로 인한 반사작용에 의해서 수행됩니다. 소화관에서 일어나는 반사작용의 기본원리는 다음의 몇 가지 장관 내 자극에 의해서 개시됩니다. 즉 소화관 내 장 내용물의 양에 의한 소화관 벽의 팽창 정도, 유미즙의 삼투질 농도, 유미즙의 산도, 소화산물의 조성과 농도, 당류, 지방산, 펩티드, 아미노산 등 소화산물 자극원들이 소화관 벽에 존재하는 수용기들을 활성화하여 반사작용을 일으키고 효과기에서 반응하도록 합니다. 소화관 기능의 조절 메커니즘 (1) 신경성 조절 소화관에는 자율신경계의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이 분포되어 있어서 소화관의 기능을 조절합니다. 즉 소화관 내 자극을 .. 2023. 2. 25.
소화기계의 기능과 영양소의 흡수 소화작용 음식물로 섭취된 영양소를 혈액이나 림프액에 흡수할 수 있는 상태까지 화학적, 기계적으로 용해, 분해하고 흡수되는 부위로 운반하는 작용을 소화라고 합니다. 즉 소화작용은 섭취한 음식물을 화학적, 기계적, 생물학적 방법으로 분해하고 혼합하여 장 상피세포의 흡수 부위까지 이송하고 장내 미생물의 이용을 돕는 것입니다. 소화관 내의 화학적 인자, 물리적 인자 및 생물학적 인자들이 교묘하게 상호 작용하여 영양소를 효율적으로 흡수될 수 있는 상태로 변화시킵니다. (1) 화학적 소화 소화관 각 부위에 분비되는 특유의 성분을 갖는 소화액에 의해 일어나는 다음의 여러 가지 작용을 화학적 소화라고 합니다. 즉 소화액 중에 포함된 소화효소에 의한 물질의 분해, 산(위액)이나 알칼리(장액) 및 담즙에 의한 중화와 용해.. 2023. 2. 24.
부속 소화기관의 구조와 소화관 벽의 구조 부속 소화기관의 구조 (1) 타액선 타액선은 타액을 구강 내에 분비하는 침샘으로, 귀밑에 좌우 한 쌍의 가장 큰 귀밑샘(이하선), 볼 내측에 있는 턱밑샘(악하선), 혀 밑에 있는 가장 작은 혀밑샘(설하선)이 있습니다. (2) 간 간은 횡격막 바로 아래 오른쪽 상복부에 있습니다. 내장 기관 중 가장 크며, 성인 남자는 1~1.5kg, 성인 여자는 0.9~1.3kg 정도의 크기입니다. 간은 우엽과 좌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우엽이 전체의 3/4을 차지합니다. 중앙 하부에는 간문이 있고, 그곳으로 간문맥, 간동맥, 간관, 림프관이 출입하고 있으며, 간문 후방에 간정맥이 나와 있습니다. 간은 간동맥과 간문맥으로부터 혈액을 공급받으며, 1분당 약 1,500mL의 혈액이 간을 통해 순환됩니다. 즉 간동맥으로부터 약.. 2023. 2.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