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7

우리 몸의 소화관의 구조와 그 기능 (1) 소화기계는 구강에서 항문까지, 즉 '구강 - 인두 - 식도 - 위 - 소장 - 대장 - 항문'에 이르는 약 9m의 소화관과 소화액을 생성, 분비하여 소화작용을 돕는 타액선, 간과 담낭, 췌장 등의 부속 소화기관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소화관의 구조 (1) 구강과 인두 구강 내에는 치아와 혀가 있고, 혀에는 무수한 유두가 있습니다. 성인의 치아는 영구치로 상하 16개씩 32개가, 영유아는 유치로 20개가 있습니다. 치아는 큰 덩어리의 음식물을 잘게 나누는 저작운동으로 소화작용의 첫 단계를 맡고 있습니다. 혀는 횡문근성 기관으로 점막으로 덮여 있으며, 맛을 느끼고 음식물의 혼합과 연하 작용을 수행합니다. 인두는 구강 후방에 연속된 소화관의 한 부분으로서 코, 입, 후두의 세 부위로 통하며, 음식물의 이동 통.. 2023. 2. 21.
부신피질과 부신수질 그리고 췌장의 작용 부신(adrenal gland)은 신장 위에 덮여 있는 삼각형 형태를 한 내분비선으로, 무게는 약 10g입니다. 부신은 표피인 피질과 중심부인 수질로 나뉘는데, 부신피질과 부신수질에서는 각각 전혀 다른 호르몬이 분비되고 있습니다. 부신피질 부신피질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은 여러 종류가 있는데, 모두 스테로이드 호르몬입니다. 부신피질에서는 염류코르티코이드와 당류코르티코이드 그리고 안드로겐을 분비합니다. (1) 염류 피질 호르몬 염류코르티코이드라고 하는 염류 피질 호르몬으로는 알도스테론이 대표적입니다. 이 호르몬은 신장의 원위세뇨관에서 나트륨의 재흡수와 칼륨의 배출을 촉진시켜 혈액 전해질 농도를 정상으로 유지함으로써 삼투압을 조절하고 혈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알도스테론이 정상 이상으로 분비되어 생기는 병.. 2023. 2. 20.
갑상선과 부갑상선의 역할과 기능 갑상선 갑상선은 목의 후두와 기관지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나비 모양의 내분비선으로 무게가 20g입니다. 갑상선에서는 신진대사를 조절하는 호르몬인 티록신과 혈장 칼슘 농도를 조절하는 칼시토닌이 분비됩니다. (1) 티록신 갑상선에서 주로 분비되는 호르몬인 티록신은 아미노산 유도체 호르몬으로 요오드가 4개 결합되어 있으며, 요오드가 3개 결합되어 있는 트리요오드타이로닌도 소량 분비됩니다. 이들은 조직세포의 신진대사율을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하고 조절하는 기능을 합니다. 1. 생성과 작용 : 갑상선 소포의 선세포에서 아미노산인 티로신과 요오드를 사용하여 갑상선호르몬을 합성합니다. 티록신은 아미노산인 티로신에 요오드가 4개 붙은 것이고, 트리요오드타이로닌은 티로신에 요오드가 3개 붙은 형태입니다. 순환하는 혈액 내.. 2023. 2. 17.
시상하부와 뇌하수체에 대하여 시상하부 시상하부의 특정 부위의 신경은 뇌하수체 전엽 호르몬의 분비를 조절하는 뇌하수체자극호르몬을 분비합니다. 이들 시상하부 호르몬은 시상하부 뇌하수체 문맥 혈관에 의해 뇌하수체 전엽으로 이동되어 뇌하수체 전엽 세포가 그들의 호르몬 분비를 조절하도록 작용합니다. 갑상선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은 갑상선자극호르몬의 분비를 촉진하고, 부신피질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은 부신피질자극호르몬 분비를 촉진합니다. 성장호르몬-방출호르몬은 성장호르몬의 분비를 촉진하며, 성선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은 황체형성호르몬과 난포자극호르몬의 분비를 촉진합니다. 뇌하수체 전엽 호르몬의 분비를 자극하지 않고 오히려 억제하는 호르몬이 두 가지 존재하는데, 소마토스타틴은 성장호르몬의 분비를 억제하고, 도파민은 프로락틴의 분비를 억제합니다. 따라서 성.. 2023. 2.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