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7 말초신경계를 구성하는 체성신경계와 자율신경계 신체 각 부위의 감각기관에서 받아들인 자극을 뇌와 척수 같은 중추신경계로 보내고, 중추신경계에서 통합 처리된 결과에 따른 명령을 신체 각 부분의 효과기, 즉 골격근이나 내장근 및 분비선에 전달하는 신경계를 말초신경계라 합니다. 뇌신경과 척수신경 같은 체성신경계와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 같은 자율신경계가 말초신경계를 구성합니다. 체성신경계 체성신경계는 수용기가 받은 자극을 중추신경계로 보내고 중추의 명령을 효과기로 보내는 역할을 하는 신경계로서, 운동신경과 감각신경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체성신경계는 수의적 반응에 관여하며 중추신경계의 명령을 골격근으로 전달합니다. 1. 뇌신경 : 뇌신경은 뇌에서 나와 얼굴에 분포하는 좌우 12쌍의 신경입니다. 뇌에서 시작하는 기점을 기준으로 하여, 뇌의 윗부분부터 순서대로.. 2023. 2. 9. 소뇌, 간뇌, 뇌간, 척수 역할과 기능 소뇌 뇌교와 연수의 뒤쪽에 위치하고 있는 소뇌는 대뇌 반구로 덮여 있으면서 신체와 대뇌 운동영역의 중계자 역할을 하여 몸의 균형을 유지시키는 중추이며, 무게는 약 120g 정도입니다. 소뇌의 주요 기능은 신체 각부의 수의근의 수축과 이완을 조절하는 역할과 자세와 평형감각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소뇌는 내이로부터 오는 평형감각 정보를 받아들여 신체의 평형을 조정합니다. 한편, 소뇌에는 운동학습 기능이 있어 연습이나 훈련에 의해 운동 패턴을 기억하여 숙련된 운동에 대하여는 대뇌피질의 명령을 기다리지 않고 소뇌가 직접 주관하여 말초 조직에 명령을 전달합니다. 소뇌에 장애가 생기면, 운동은 할 수 있지만 동작이 원활하지 못하고 몸의 균형을 유지하지 못하여 똑바로 걷지 못하고 비틀거리거나 쉽게 넘어집니다. 또한 손.. 2023. 2. 8. 정신활동의 중추인 대뇌의 부위별 담당 기능 대뇌는 기억과 판단 등을 관장하는 정신활동의 중추이며 또한 감각과 수의운동의 중추로서, 대부분의 행동을 통합하고 조절하는 기능을 합니다. 대뇌는 버섯 모양의 좌우 대뇌 반구와 이를 연결하는 신경섬유 조직인 뇌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무게는 남자가 1.4kg, 여자가 1.2kg 정도입니다. 대뇌의 좌우 반구는 깊은 흠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전두엽, 두정엽, 후두엽, 측두엽으로 구별됩니다. 대뇌의 표면 부분은 신경세포체가 모여 있는 회백질로 이루어진 대뇌피질이 있습니다. 안쪽으로는 신경섬유로 구성된 백질 부분의 대뇌수질이 있으며 백질의 가운데 부분에는 다시 회백질인 대뇌핵이 존재합니다. 대뇌의 여러 기능은 주로 대뇌피질에서 이루어지며, 대뇌수질은 주로 정보를 전달하는 도로 역할을 합니다. 대뇌피질 대뇌 표면에.. 2023. 2. 4. 체온의 향상성 조절이란 무엇일까요? 인간을 비롯한 포유류나 조류 등 항온동물은 외부 기온의 변화나 체내 열 생성량과 무관하게 매우 좁은 범위 내에서 체온의 향상성을 유지합니다. 신체의 향상성 조절계의 한 예로서 체온조절 반사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정상체온 인체는 내부 온도, 즉 중심체온을 비교적 좁은 범위에서 일정하게 유지합니다. 체온은 이론적으로 대동맥의 혈액 온도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실제로는 측정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환경온도에 따라 적게 변동하고 혈액의 온도와 비슷한 겨드랑이 밑, 구강 내, 직장 내, 또는 질 내의 온도가 일반적으로 중심체온을 대표합니다. 정상 체온은 약 37도이며 35.5~37.7의 좁은 범위에서 조절됩니다. 체열의 균형 인체는 항상 외부 환경의 온도 변화와 체내 대사율의 변동을 겪고 있으므로, .. 2023. 2. 4. 이전 1 ··· 5 6 7 8 9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