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의 주요 기능 중 소화작용과 관련지어 가장 중요한 것은 담즙 생성입니다. 또한 간은 체내 물질대사와 내부환경의 항상성 유지에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500여 가지의 대사 작용에 관여합니다. 즉 탄수화물, 지질, 단백질의 합성과 분해, 저장 등 대사의 중심이 될 뿐만 아니라 무기질과 비타민의 저장과 활성화, 중간대사산물의 재이용과 분해작용도 수행합니다. 이외에도 체내 독성물질을 해독하며, 체내 방어 역할도 담당합니다. 간의 주요 기능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탄수화물 대사
음식물로부터 섭취한 탄수화물은 소화관 내에서 소화되어 대부분이 포도당으로서 흡수되어 문맥을 거쳐 간에 운반됩니다. 다량으로 간에 유입된 포도당은 그 일부가 혈액 중에 방출되고, 대부분은 간과 근육에서 글리코겐으로 합성되어 저장됩니다. 한편 간을 포함한 각종 장기와 조직의 세포에서는 끊임없이 포도당을 이용하여 에너지원을 얻고 있기 때문에 혈당치는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합니다. 혈당 수준이 내려가면 간세포에서는 저장해 두었던 글리코겐을 분해해서 포도당을 혈중에 방치합니다.
간세포는 과잉 섭취되거나 체단백질의 분해로 생성된 아미노산과 피루브산, 근육운동에 의해서 생성된 젖산, 지방분해에 의해서 생성된 글리세롤 등 당 이외의 성분을 이용하여 포도당을 생성하는 당신생작용을 합니다.
이처럼 간은 글리코겐의 합성과 저장 및 분해, 당신생, 탄수화물 중간대사산물의 합성 등을 통해 당 대사 및 혈당조절에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며 많은 효소와 호르몬이 이러한 대사의 조절작용에 관여하고 있습니다.
단백질 대사
간에서 일어나는 주요 단백질 대사 작용으로 체단백질의 저장, 혈장단백질의 합성, 혈액응고인자의 합성, 아미노산 대사, 비필수아미노산의 합성, 함황아미노산의 대사, 요소 합성 등을 들 수 있습니다. 간은 이러한 대사 작용에 필요한 모든 효소 포함하고 있습니다. 간에서는 알부민, 글로불린, 트랜스페린, 세룰로플라즈민, 지단백 등 혈 단백질과 피브리노겐, 프로트롬빈 등 혈액응고인자 및 여러 종류의 효소 단백질이 합성됩니다.
간에서 수행되는 아미노산 대사를 보면 탈아미노반응과 아미노전이반응을 통해 아미노산을 분해 또는 상호전환 시키거나 비필수아미노산을 합성하며 에너지와 포도당 생성에 이용되는 기질로 전환도 합니다. 또 아미노산의 대사 결과로 생성된 암모니아를 요소로 합성하여 무해한 상태로 요 중에 배설되도록 합니다. 혈청 단백질 농도 및 혈중 효소활성 SGPT(ALT)와 SGOT(AST)의 측정치는 간 기능 검사에 주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지질 대사
간에서 일어나는 지질 대사의 대표적인 것으로 지방 합성, 인지질과 콜레스테롤 합성, 지단백 합성, 지방산 대사, 담즙산 합성 등을 들 수 있습니다. 혈액 중에 지방의 수송 형태인 지단백질은 단백질과 중성지방, 인지질 및 콜레스테롤 등의 물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부분 간에서 합성됩니다. 간은 탄수화물의 중간대사물질을 이용해 지방을 합성하므로 잉여의 지방산뿐만 아니라 당질을 지방으로 전환니다. 식사 또는 지방조직에서 방출된 지방산은 주로 간에서 beta-산화 과정에 의해서 아세틸-Coa로 전환되어 에너지로 이용되는데 이때 케톤체가 생성됩니다.
비타민과 무기질 대사
간은 각종 비타민과 무기질의 대사, 활성화, 수송뿐만 아니라 저장에 관여합니다.
특히 비타민 A와 비타민 D를 비롯한 모든 지용성 비타민, 비타민 B12,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C 등 수용성 비타민뿐만 아니라 아연, 철 구리, 마그네슘 등 무기질이 간에 저장됩니다. 또 비타민 A, 아연 또는 철을 수송하는 단백질이 간세포에서 합성됩니다. 간은 비타민 D를 순환형 비타민 D3로, 카로틴을 비타민 A로, 비타민 K를 프로트롬빈으로, 엽산을 활성형 엽산으로 전환는 기능을 갖습니다. 간은 철 또는 구리의 대부분을 각각 페리틴 또는 세룰로플라즈민의 형태로 저장합니다.
해독작용
간은 체내에서 생성된 여러 유해물질과 외부에서 들어온 유독물질을 산화, 환원, 분해 또는 합성 등의 반응을 통해서 독성이 적은 물질로 바꾸거나 배설하기 쉬운 수용성 물질로 만듭니다. 외인성 약물이나 알코올의 처리가 간에서 이루어지며 내인성 스테로이드계 물질들, 즉 알도스테론,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에스트로젠, 프로게스테론, 테스토스테론 등이 간에서 비활성화합니다. 또한 암모니아를 요소로 합성으로써 독성을 제거합니다.
이외에도 간은 혈액 중의 바이러스나 이물질들을 시누소이드의 모세혈관 벽에 존재하는 쿠퍼세포의 음세포작용으로써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면역작용
간은 혈액 중의 바이러스나 이물질들을 시누소이드의 모세혈관 벽에 존재하는 쿠퍼세포의 식작용에 의해서 제거합니다. 또 면역글로불린 합성에도 관여합니다.
담즙 생성
간세포는 지방의 소화에 필요한 담즙을 합성합니다. 담즙의 주성분인 담즙산은 콜레스테롤로부터 생성되는 콜산을 모체로 하여 합성됩니다. 1일 500~100mL의 담즙이 합성되어 수많은 모세담관을 통해 간관으 배출됩니다. 간담즙은 담낭에 모아져 저장, 농축과정을 거쳐서 담관을 통해 십이지장으로 배출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