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색소
적혈구는 중앙이 약간 함몰된 원판형이며 구형에 비해 표면적이 넓기 떄문에 산소와의 접촉이 유리합니다. 한 개의 적혈구에는 3억 개 정도의 혈색소인 헤모글로빈이 들어 있는데, 한 개의 헤모글로빈은 철을 함유한 4개의 헴과 글로빈이라는 단백질의 복합체입니다. 한 개의 헴에 산소 한 분자가 결합하여 운반되므로 한 개의 적혈구는 12억 개의 산소 분자를 운반하는 셈입니다.
헤모글로빈은 아미노산 배열에 따라 여러 형태로 나누어집니다. 정상적인 헤모글로빈은 A형이고 alpha 폴리펩티드 2개와 beta 폴리펩티드 2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태아는 alpha와 gamma 폴리펩티드로 된 HbF를 가지고 있으나 출생 후에 gamma 폴리펩티드가 beta 폴리펩티드로 변형되면서 HbA가 됩니다. 헤모글로빈 S형은 beta 폴리펩티드의 변형으로 겸상적혈구 빈혈이 발생합니다.
조혈작용
정상적인 혈구는 일정한 수명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지속해 생성되어 혈액 내에 일정한 농도로 유지됩니다. 조혈작용이란 다능성 줄기세포인 혈구모세포로부터 혈액 속에서 성숙시키는 과정을 말합니다. 조혈작용은 대략 생후 4년까지는 기능적 골수인 적색골수에서 일어나고 18세 이후부터는 추골, 늑골, 흉골, 두개골, 골반 등의 골수에서 이루어집니다. 조혈과정은 집락자극인자, 적혈구조혈인자에 의해 조절됩니다. 적색골수를 자극하면 정상적인 조혈작용의 6배까지 촉진할 수 있습니다.
체내에 산소가 부족하게 되면 골수에서 적혈구 생성이 촉진되는데 신장으로부터 조혈 촉진인자인 에리트로포이에틴 호르몬이 분비됩니다. 이 호르몬에 의해 적혈구 모세포인 줄기세포가 자극받아 생성된 적아구는 분화과정을 거쳐 적혈구로 성숙하서 혈액으로 방출됩니다.
골수에서 만들어지는 적혈구는 약 120일 동안 혈액 속을 순환하다가 림프절, 간, 비장 등에서 파괴됩니다.
노화된 적혈구는 대식세포의 식세포작용에 의해 분해되며 적혈구에서 분리된 헤모글로빈은 다시 글로빈과 헴으로 분리되고 헴 내의 철을 소실한 후 빌리루빈으로 변합니다. 빌리루빈은 간에서 담즙색소가 되어 배출됩니다.
과도한 적혈구 용혈이 일어나면 빌리루빈의 혈중 농도가 높아져서 눈의 공막이나 피부가 황색을 띠는 황달이 생니다.
조혈작용의 이상
빈혈은 적혈구 수가 혈액 1microliter 당 400만 개 이하이거나 헤모글로빈 수치가 혈액 dL당 여자 12g, 남자 14g 이하일 때를 말합니다. 빈혈이 생기면 전신의 조직으로 산소 운반이 저하되어 피부 창백, 심장 활동의 항진, 호흡 촉진, 두통, 피로감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빈혈은 적혈구의 생산 부족, 영양결핍, 용혈 또는 혈액의 지나친 손실 등으로 초래됩니다.
다혈구증은 평지에서 생활하던 사람이 고산지대에 올라가면 적혈구 수가 600만/microliter까지 증가하는데 적혈구가 1,100만/microliter고 헤마토크릿 수치가 70~80%이면 혈액의 점성이 상당히 증가하여 청색증이 나타납니다.
댓글